[Algorithm] 병합 정렬, Merge sorting - 안정적이고 빠르다
데이터를 정렬하는데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그 중 시간 복잡도가 O(n lon n) 인 알고리즘이 빠른 편이라고 알려져 있다. 동일한 시간 복잡도를 가진 알고리즘으로는 quick sorting, merge sorting, heap sorting 등이 있다. 그 중 heap sorting을 가장 많이 사용했던 것 같긴 한데 오늘은 안정적이면서 이해하기 쉽고 외우기도 쉬운 merge sorting을 복기해보았다. 병합 정렬은 전체 데이터를 반씩 반씩 균일하게 나누어서 가장 작은 단위까지 쪼갠 후에 다시 합쳐서 비교하는 방식으로 정렬한다. 예를 들면, {7, 1, 4, 3} 라는 데이터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해보자. - {(7, 1), (4, 3)} // 2개씩 나눔 - {(1, 7), (3, 4)} // 각 나..
더보기
단축키
내 블로그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새 글 쓰기 |
W
W
|
블로그 게시글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모든 영역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